반응형
오늘은 심볼릭 링크에 대해서 공부해보려고합니다. 공부하게된 배경을 말씀드리면, 프로젝트를 구축하는데, 다른 프로젝트의 소스들을 lib형식으로 만들어서 참조해야 된다고해서, 심볼릭 링크 얘기가 나왔습니다. 다른 프로젝트의 class파일 경로를 심볼릭 링크를 사용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Docbase쪽에 만들어서 참조하려는 말이 나왔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이방법은 사용하지 못했지만! 말나온김에 공부하는 집도리 개발자! 기존에 심볼릭 링크에 대해서 대략적으로만 알고있었지만, 다시 한번 짚고 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본론 시작하겠습니다.
리눅스에서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다보면 심볼릭 링크라는 용어를 종종 들을 수 있습니다. 심볼릭 링크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대한 가상의 링크로, 다른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참조입니다.
1. 심볼릭 링크란?
- 심볼릭 링크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가상의 링크입니다. 원본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참조로 사용됩니다.
- 심볼릭 링크는 원본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경로를 통해 원본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링크를 연결하여 원본 파일을 직접 사용하는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링크입니다,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2. 심볼릭 링크 생성하기
- 심볼릭 링크는 'ln' 명령어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n -s /path/to/original /path/to/symlink' 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여 심볼릭 링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생성된 심볼릭 링크는 원본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가리키며, 해당 심볼릭 링크를 통해 원본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3. 심볼릭 링크 사용 예시
-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위치 변경 : 심볼릭 링크를 사용하면 디렉토리의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심볼릭 링크를 생성하고, 해당 심볼릭 링크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면 실제 파일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 없이 링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 공유 라이브러리 사용 :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so 파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볼릭 링크를 통해 공유라이브러리를 다른 위치에 배치하고 해당 심볼릭 링크를 참조하는 실행 파일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편의성 제공 : 심볼릭 링크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주 사용하는 디렉토리에 대한 심볼릭 링크를 생성하면 해당 디렉토리로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4. 심볼릭 링크 삭제하기
- 심볼릭 링크를 삭제하려면 해당 심볼릭 링크 파일을 삭제하면 됩니다. 'rm' 명령어를 사용하여 심볼릭 링크 파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심볼릭 링크를 삭제해도 원본 파일이나 디렉토리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심볼릭 링크에서 삭제할경우 'rm /path/to/symlink' 이런식으로 명령어를 날리며, 맨뒤에 폴더이든 파일이든 / 를 붙이지 않습니다. /를 붙일경우 파일이 날라갈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심볼릭 링크에 대해서 공부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사용하게되는 케이스는 lib 참조나, 바로가기 경로로 잡거나 할때 사용될꺼 같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이 있으면 댓글달아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특정 포트 사용중인 프로세스 확인 (0) | 2022.10.24 |
---|---|
리눅스 파일시간 atime ctime mtime (0) | 2022.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