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처리기사 응시 자격
- 학력 응시
- 4년제: 졸업 또는 4학년 1학기 이상 재학/휴학/제적
- 3년제: 졸업 후 1년 실무 경력
- 2년제: 졸업 후 2년 실무 경력
- 경력 응시
- 동일 직무 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 경력
- 기능사 취득 후 3년 실무 경력
- 산업기사 취득 후 1년 실무경력
- 기타응시
- 학점인정법률의거 106점 이상 취득
우선 위에 자격을 가지고 있어야 응시 가능합니다.
2. 정보처리기사 시험 방식
- 1차 필기 시험
- 시험 과목 : 1. 소프트웨어설계
2. 소프트웨어개발
3. 데이터베이스 구축
4. 프로그래밍언어활용
5. 정보시스템구축관리 - 합격 기준 : 100점만점 기준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과락 존재)
- 시험 시간 : 150분
- 문제 유형 : 객관식 4지선다
- 시험 과목 : 1. 소프트웨어설계
- 2차 실기 시험
- 시험 과목 : 1. 소프트웨어설계
2. 소프트웨어개발
3. 데이터베이스 구축
4. 프로그래밍언어활용
5. 정보시스템구축관리 - 합격 기준 : 100점 만점 60점 이상
- 시험 시간 : 150분
- 문제 유형 : 기본 20문제 정도
- 시험 과목 : 1. 소프트웨어설계
시험 응시방법과 유형은 이정도로 되어있고, 문제집같은경우에는 1. 시나공 2. 수제비 3. 이기적 이 있는데 저는 시나공으로 샀는데 개인적으로 다음에 시험 본다고하면 저는 수제비를 추천합니다. 시나공은 정말 글이 많은데 수제비 같은 경우에는 그림이 많고 비교적 좋다고 하더라고요 후기들어보니깐 500쪽 정도 되는 책 2건에 문제집 1개 정도 였습니다. 저는 학사 자격증이 없어서 실무 경력으로 시험봤었고, 형상관리 쪽 일을 하다보니깐 생각보다 일하면서 알고 있던 부분들이 많았고 객관식이다 보니 문제자체는 쉬웠습니다. 저는 매일매일 하루 30쪽 정도씩 봤는데 제가 읽는 속도가 느리고 머리가 좋지 않아서 1쪽 있는데 8~10분정도 걸리더라고요 한 30쪽보는데 3시간정도 걸렸던거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필기는 한번에 붙었는데 실기는 총 3번 봤습니다. 제가 영어를 잘못하는데, 책에 한글과 영어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한글 부분만 외웠었는데, 첫번째 실기 시험에서는 영어로 쓰라고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한글 답은 아는데 영어답을 몰라서 틀렸었습니다. 영어단어로도 꼭 외우세요!!!!! 이건 정말 중요합니다. 영어단어로 외우는게 정말 꿀팁입니다! 기본적으로 제가 실기시험에서 가져갔던 전략은 코딩문제는 다 맞추고 DB문제 다맞추고 단어에 대한 정의나 그런 단답형이 있는데 그런거 3~4개정도만 맞추자는 전략이였습니다. 기본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 문제와 DB문제를 다 맞추면 10개정도 되고, 2개만 더맞추면 돼서 그런 전략으로 가져갔습니다. 그리고 실기라고 하지만 보기가 주어지는 문제가 있고, 그런문제에서는 보기에서 골라서 쓰면 되는 문제도 두문제 정도는 있습니다. 실기 처음에는 어떤 유형들의 문제가 나오는구나라고 감만 보시고 이런 문제들이 나오는구나 아시고 나서 그쪽 과목만 많이보셔도 합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이 있으면 개발자 등급을 나눌때 조금 더 유리한 부분이 있다고들 많이 하셔서 따게 되었습니다. 공부하고 시험볼때는 너무 떨리고 어려워서 힘들었는데, 따고 나니깐 또 다른 자격증도 따고싶다고 생각이 들면서 자격증들이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그리고 아는만큼 보인다고 자격증때문에 정보처리기사 공부를 하면서 봤던것들이 실무에서도 가끔 사용하는걸 보면서 속으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공부가 도움이 되는구나 싶었습니다.ㅎㅎㅎ 다들 열심히 공부하셔서 합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IT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레드(Thread)란? (0) | 2023.05.14 |
---|---|
[네트워크] DMZ(DeMilitarized Zone) 서버란? (0) | 2023.05.07 |
REST API란? REST API와 RESTful API의 차이점 (0) | 2023.04.04 |
이클립스 힙 메모리 분석툴 (MemoryAnalyzer.exe) (0) | 2022.12.19 |
LG CNS 프로그래머스 코딩 관련 (0) | 2022.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