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39 SSO(Single Sign-On)란 무엇인가? SSO(Single- Sign-On)는 하나의 인증 수단으로 여러 서비스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기술입니다. 사용자는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서비스 및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인증 절차나 로그인 과정 없이 자동으로 인증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의 향상과 편의성을 제공하면서도 보안과 관리의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일반적인 SSO 구성 1. 신원 제공자(Identity Provider. IdP):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주요 역할은 사용자 인증 및 인증 정보의 제공입니다. 대표적인 신원 제공자로는 Google. Faceboock, Microsoft 등이 있습니다. 2.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SP): 사용자가 접근하려.. 2023. 6. 13.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 란? 오늘은 심볼릭 링크에 대해서 공부해보려고합니다. 공부하게된 배경을 말씀드리면, 프로젝트를 구축하는데, 다른 프로젝트의 소스들을 lib형식으로 만들어서 참조해야 된다고해서, 심볼릭 링크 얘기가 나왔습니다. 다른 프로젝트의 class파일 경로를 심볼릭 링크를 사용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Docbase쪽에 만들어서 참조하려는 말이 나왔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이방법은 사용하지 못했지만! 말나온김에 공부하는 집도리 개발자! 기존에 심볼릭 링크에 대해서 대략적으로만 알고있었지만, 다시 한번 짚고 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본론 시작하겠습니다. 리눅스에서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다보면 심볼릭 링크라는 용어를 종종 들을 수 있습니다. 심볼릭 링크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대한 가상의 링크로, 다른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2023. 5. 30. 함수형 프로그래밍(Functional Programming) 이란? 안뇽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 알아보고, 그 특징과 장점을 다루어보겠습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패러다임 중 하나로, 코드의 간결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버그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제가 오늘 포스팅 주제를 함수형 프로그래밍으로 정한 이유는 알고리즘을 계속 하다보니, 람다식 표현을 많이 사용하게되는데, 람다식 표현을 설명하기 전에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무엇인지 알아야, 람다식 표현에 대해 조금더 이해하기가 쉽기 때문에 먼저 포스팅 하게되었습니다. 1. 함수형 프로그램밍의 등장 배경 수학적 기초 :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수학적 개념과 원리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람다 대수, 명제 논리, 집합 이론 등의 수학적 개념이 함수형.. 2023. 5. 21. NAT IP란?네트워크 주소 변환의 핵심 개념 네트워크 환경에서 효율적인 IP 주소 관리와 인터넷 연결을 위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라는 기술이 사용됩니다. NAT는 사설 네트워크에서 공인 네트워크로 통신할 때 IP주소 변환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NAT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NAT I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AT IP(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IP(네트워크 주소 변환 IP)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을 위해 사용되는 IP 주소입니다. 네트워크에서 NAT는 사설 네트워크에서 공인 네트워크로 통신할 때 IP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기술입니다. 사설 네트워크에서는 일반적으로 공인 IP 주소 대신 사설 IP 주소를 사용합.. 2023. 5. 16. 이전 1 2 3 4 5 ··· 10 다음 728x90 반응형